더불어 민주당

내용 바로가기

강혜경-정월대보름의 추억-울산제일일보2019.2.18

정월대보름의 추억-울산제일일보 오피니언2019.2.18

강혜경 중구의회 의원

 며칠 전 태화강변을 걷다가 우연찮게 달집 만드는 모습을 보았다. 강바람은 아직도 찬데 시절은 어느새 정월 대보름이다. 정월 대보름이 한해 농사의 시작을 알리기 때문에 농사와 관련된 행사가 이날 많이 열렸다.

나의 유년시절 정월 대보름 아침은 늘 ‘새 쫓기’부터 시작되었다. 동이 터올 무렵 엄마는 늘 집 뒤란 대밭으로 우리 사남매를 내모셨다. 새도 없는 대밭에서 긴 장대로 땅바닥을 치며 큰소리로 “후여~ 후여~”하고 새 쫓는 흉내를 내는 일은 겨울 새벽 추위 때문이 아니라 부끄러워서 싫었다. 엄마는 부엌에서 아침을 지으시면서 빨리 새를 쫓고 추운데 방으로 들어가라고 하시지만 우리 사남매는 “후여~ 후여~”라는 말을 못해서 오들오들 한참을 떨곤 했다. 정월 대보름날 아침 새 쫓기를 통해서 가을철 새들로부터 나락을 지키고자 한 농가의 풍습을 어린 그 시절에는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
대보름날 아침은 아주 특별했다. 생일도 아닌데 팥을 비롯해 오곡이 들어간 찰밥과 나물, 생태와 무를 빚어 만든 얼큰한 찌개, 그리고 부럼으로 나온 강정이 밥상을 한가득 채웠고, 밥도 첫술부터 연거푸 세 번은 반드시 김에 싸서 먹어야 했다. 그러고 나선 귀밝이술을 마셨는데, 어린 나는 술을 못 마셔서 혹여 친구들보다 귀가 어두워지지 않을까 괜한 걱정을 하기도 했다.
우리 가족이 보름날 아침을 먹고 있노라면 강아지도 밥을 달라고 마당에서 낑낑거리며 보챘지만 엄마는 이날만큼은 개밥을 주지 않으셨다. 흔히 밥을 거를 때 ‘개 보름 쐬듯 한다’는 말이 있듯이 개가 달을 보며 짖지 말라는 의미로 밥을 주지 않는다고 했다. 그 정확한 의미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개의 입장에서 보면 보름은 분명 억울한 날이었을 것이다.

 

 그런데 이런 개의 처지와 달리 소에게는 대보름이 아주 즐거운 날이었다. 대보름날 아침 소에게는 여물을 주지 않고 사람과 똑같이 나물과 밥을 먹였다. 곡식을 까불어 골라내는 도구인 ‘키(우리 시골에선 ’채이‘라 불렀다)’에 나물과 밥을 얹어서 소에게 주었는데, 소가 밥을 먼저 먹으면 그해 농사가 풍년이 들고 나물을 먼저 먹으면 흉년이 든다고 해서 소가 밥을 먼저 먹기를 고대하며 지켜보기도 했다.
이렇게 소가 밥을 먹고 나면 엄마는 한 말이나 되는 막걸리를 소 구이(구유) 가득 부어 주셨다. 평상시에도 술을 거르고 남은 술찌꺼기를 여물삼아 소에게 먹인 탓인지 우리 집 소는 막걸리를 무척이나 좋아했다. 특히 정월 대보름날은 아침부터 술을 마신 소가 종일 눈이 벌겋게 충혈된 채 나른한 표정을 짓고 있던 모습이 거의 반세기가 지난 지금도 기억난다.

 

 대보름날 학교에서 돌아온 아이들은 한 해 동안의 건강을 위해 집집마다 들러서 오곡밥과 나물을 얻은 다음 함께 모여 먹으면서 놀았다. 박 바가지를 들고 이웃집에 가면 밥과 나물을 내주었고, 그렇게 세 집이나 아홉 집을 돌아서 모은 바가지를 들고 볏짚이 쌓여 있는 양지바른 논자락에 옹기종기 모여 앉아서 각자 얻어온 밥을 품평까지 해 가며 재잘재잘 재미나게 먹곤 했다.
정월 대보름날 마을에서는 종일 지신밟기 놀이로 떠들썩했다. 흥겨운 나팔소리와 징소리, 꽹과리 소리는 어린아이들도 어깨가 들썩이게 했다. 우리 집은 마을 맨 끝집이었기 때문에 해가 질 무렵에야 당도한 풍물패가 마당으로 들어서면 엄마는 급히 술상을 내오셨다. 부엌에 술상이 차려지면 부엌 앞마당에서 “지신 밟자~ 지신 밟자~ 조왕신 지신 밟자” 하고 소리를 했고, 안방과 마루, 외양간을 거쳐 장독대에 이르면 “꼬장(고추장)도 장 달세, 밤장(된장)도 장달세”하는 소리로 흥을 돋우었다. 아이들은 종일 오색 종이꽃이 매달린 고깔모자를 쓴 풍물패와 거짓 총질을 해대는 포수의 뒤를 졸졸 아 다녔다.

 

 아무래도 정월 대보름의 꽃은 달집살이와 달맞이지 싶다. 달집살이는 주로 어른들이 준비했지만 아이들도 덩치가 커지면 또래끼리 달집을 만들고 쥐불놀이를 했다. 고향마을 뒤 ‘말티깔티’란 높은 고갯마루에는 오빠또래들이 올라가서 달맞이를 했고, 마을사람들은 마을 뒤 물레방아가 있던 언덕배기에서 달맞이를 했다. 동편 산 위로 대보름달이 고개를 내밀면 누군가 “달떴다”라고 소리를 질렀고, 곧 이어 모두 ”달집에 불이야“하고 외치며 달집에 불을 질렀다. 그리고 모두는 활활 타오르는 달집과 멀리 떠오르는 달님에게 절을 올리면서 저마다 소원을 빌었다.
어린 시절 정월 대보름날에는 동네사람들은 모두 한마음으로 가족의 건강과 마을의 안녕, 그리고 풍년을 간절히 기원했던 것 같다. 날마다 달은 뜨고 정월 대보름도 어김없이 찾아왔는데, 농사가 생업이 아니고 마을공동체도 무너진 지금 우리들은 달님에게 무엇을 빌어야 할까.



출처 : 울산제일일보(http://www.uj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