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국회의원 김문수 보도자료] 자퇴 비율, 2022학년도부터 두드러져

  • 게시자 : 국회의원 김문수
  • 조회수 : 7
  • 게시일 : 2025-10-22 14:17:26
발언통지서


 

 

 

자퇴 비율, 2022학년도부터 두드러져 

 

특성화고 2024학년도 4% 넘어.. 외고, 2021학년도부터 일반고보다 많아져 

김문수 의원 “자퇴 추이, N수생 추이 등 교육당국 분석해야 할 지점” 

 

 

고등학생 자퇴 비율이 2022학년도부터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였다. 특성화고는 지난해 4%를 넘어섰고, 외고는 2021학년도부터 일반고를 추월했다.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고등학교 전체 

1.20% 

1.30% 

1.41% 

1.57% 

1.65% 

1.06% 

1.52% 

1.87% 

2.00% 

2.05% 

일반고 

1.05% 

1.15% 

1.23% 

1.31% 

1.36% 

0.94% 

1.29% 

1.58% 

1.69% 

1.74% 

외고 

0.83% 

0.89% 

1.04% 

1.16% 

1.26% 

0.93% 

1.31% 

1.65% 

1.84% 

1.81% 

국제고 

1.07% 

1.32% 

1.25% 

1.57% 

1.39% 

0.86% 

1.69% 

1.58% 

1.88% 

1.99% 

과학고(영재학교 외) 

0.23% 

0.41% 

0.37% 

0.60% 

0.66% 

0.59% 

0.84% 

0.78% 

0.75% 

0.89% 

과학고(영재학교) 

0.10% 

0.18% 

0.29% 

0.48% 

0.40% 

0.24% 

0.52% 

0.48% 

0.52% 

0.44% 

특성화고 

2.02% 

2.16% 

2.46% 

2.99% 

3.26% 

1.86% 

2.97% 

3.79% 

3.98% 

4.11% 

 

 

* 자퇴 비율 = 자퇴자수 / 학생수 × 100, 의원실 산출                    ** 학년도 : 그 해 3월 ~ 다음해 2월 

 

한국교육개발원이 국회 교육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의원에게 제공한 통계로 산출한 결과, 고등학생 자퇴 비율은 2022학년도부터 증가세가 눈에 띄었다. 2015학년도 1.20%였던 비율은 증가하다가 2020학년도 코로나 시기에 1.06%로 떨어졌다.  

  

뒤이어 코로나 지나 예년 수준을 회복한 다음, 2022학년도에는 1.87%로 뛰었다. 2023학년도는 2%를 넘어섰고, 작년 2024학년도는 2.05%를 기록했다.  

 

묘하게 정시 확대와 겹친다. 서울 일부 대학의 정시 확대는 2023학년도 입시부터 적용되었다. 고등학생 기준으로 2022학년도 하반기에 치러진 입시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그 해 치러진 수능에서 졸업생은 처음으로 30%를 넘어섰다.  

 

수능의 재학생 및 졸업생 응시 현황 

 

학년도 

재학생 

졸업생 

응시자 계 

(명) 

인원(명) 

비율 

인원(명) 

비율 

2016 

449,058    

76.7%  

136,274  

23.3%  

585,332  

2017 

420,209    

76.1%  

132,088  

23.9%  

552,297  

2018 

398,838  

75.1%  

132,489  

24.9%  

531,327  

2019 

399,910  

75.4%  

130,310  

24.6%  

530,220  

2020 

347,765  

71.7%  

136,972  

28.3%  

484,737  

2021 

295,116  

70.1%  

125,918  

29.9%  

421,034  

2022 

318,693  

71.1%  

129,445  

28.9%  

448,138  

2023 

308,284  

68.9%  

139,385  

31.1%  

447,669  

2024 

287,502  

64.6%  

157,368  

35.4%  

444,870  

2025 

302,589  

65.3%  

160,897  

34.7%  

463,486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공(김문수 의원실로), 실제 응시 인원     ** 졸업생 : 검정고시 합격자 포함 

*** 입시의 학년도 : 전년도에 실시, 가령 2025학년도 수능은 2024년에 실시 

 

자퇴 비율을 고등학교 유형별로 보면, 특성화고가 가장 많다. 지난해 2024학년도 4.11%였다. 다음은 자공고, 예고, 국제고, 외고 순이다.   [참고] 4~5쪽 

 

가장 적은 유형은 과학고 중 영재학교로 0.44%였다. 영재학교 외 과학고, 자사고, 마이스터고가 그 뒤를 이었다. 일반고는 1.74%로 중간 정도다. 

 

특성화고는 2015학년도 2.02%에서 2024학년도 4.11%로 늘었다. 10년 새 두 배가 되었다. 학교를 떠나는 이유 등에 대한 규명이 필요해보인다.  

 

외고와 국제고는 일반고보다 자퇴 비율이 높다. 그 중에서 외고는 당초 일반고보다 낮았는데, 코로나를 지나면서 일반고를 상회했다. 역전 현상이 벌어진 것이다.  

 

전남 순천·광양·곡성·구례(갑) 김문수 의원은 “고등학교 자퇴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학생수는 감소하는데, 자퇴생은 늘어나는 추세다”라며, “비율보다 추세에 주목해야 다”면서 “특성화고는 특히 4%를 넘었다”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이어서 “학교 떠나는 이유, 그 목소리를 교육당국이 들어볼 필요가 있다”며, “정시 확대가 적용된 시기부터 N수생이 늘어나고 자퇴가 증가한 것처럼 보이는데 우연인지, 상관관계가 있는지, 그 외 의대나 내신 또는 일자리와 관련 있는지 등 파악하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국교육개발원은 김문수 의원실로 2015~2024학년도 고등학교 유형별 자퇴자수, 학업중단자수, 학생수 교육통계를 제공했고, 의원실은 자퇴 비율을 구했다.  

 

우리나라의 고등학교는 유형이 일반고, 특성화고, 특목고, 자율고로 구분된다. 뒤이어 자율고는 자공고와 자사고로 구분되고, 특목고는 예고, 체고, 과학고, 외고, 국제고, 마이스터고로 세분화된다. 과학고는 영재학교와 영재학교 아닌 과학고로 나뉜다.  

 

[참고]  

 

자퇴 비율 

 

고등학교 유형 

15학년도 

16학년도 

17학년도 

18학년도 

19학년도 

20학년도 

21학년도 

22학년도 

23학년도 

24학년도 

일반고 

1.05% 

1.15% 

1.23% 

1.31% 

1.36% 

0.94% 

1.29% 

1.58% 

1.69% 

1.74% 

특목고_체육 

1.79% 

1.31% 

1.64% 

1.22% 

1.22% 

0.95% 

1.22% 

1.26% 

1.36% 

1.55% 

특목고_과학_영재학교 외 

0.23% 

0.41% 

0.37% 

0.60% 

0.66% 

0.59% 

0.84% 

0.78% 

0.75% 

0.89% 

특목고_과학_영재학교 

0.10% 

0.18% 

0.29% 

0.48% 

0.40% 

0.24% 

0.52% 

0.48% 

0.52% 

0.44% 

특목고_예술 

1.62% 

1.41% 

1.96% 

2.08% 

2.38% 

1.19% 

1.69% 

2.17% 

2.40% 

2.24% 

특목고_외국어 

0.83% 

0.89% 

1.04% 

1.16% 

1.26% 

0.93% 

1.31% 

1.65% 

1.84% 

1.81% 

특목고_국제 

1.07% 

1.32% 

1.25% 

1.57% 

1.39% 

0.86% 

1.69% 

1.58% 

1.88% 

1.99% 

특목고_마이스터 

1.11% 

1.16% 

1.10% 

1.17% 

1.10% 

0.86% 

1.13% 

1.45% 

1.51% 

1.45% 

특성화고 

2.02% 

2.16% 

2.46% 

2.99% 

3.26% 

1.86% 

2.97% 

3.79% 

3.98% 

4.11% 

자율고_공립 

0.89% 

0.95% 

0.97% 

1.12% 

1.10% 

0.53% 

0.61% 

0.87% 

2.32% 

2.56% 

자율고_사립 

0.67% 

0.78% 

0.85% 

0.95% 

0.96% 

0.68% 

1.08% 

1.00% 

1.30% 

1.10% 

전체 

1.20% 

1.30% 

1.41% 

1.57% 

1.65% 

1.06% 

1.52% 

1.87% 

2.00% 

2.05% 

 

 

   자퇴 비율 = 자퇴자수 / 학생수 × 100, 의원실 산출 

 

자퇴자수 

(단위 : 명) 

 

고등학교 유형 

15학년도 

16학년도 

17학년도 

18학년도 

19학년도 

20학년도 

21학년도 

22학년도 

23학년도 

24학년도 

일반고 

 13,419  

 14,476  

 14,652  

 14,342  

 13,583  

8,999  

 12,398  

 15,178  

 16,748  

 17,536  

특목고_체육 

67  

51  

65  

47  

48  

36  

46  

45  

49  

57  

특목고_과학_영재학교 외 

 9  

18  

16  

26  

29  

26  

37  

34  

33  

39  

특목고_과학_영재학교 

 2  

 4  

 7  

12  

10  

 6  

13  

12  

13  

11  

특목고_예술 

280  

242  

331  

347  

391  

186  

250  

310  

337  

316  

특목고_외국어 

165  

170  

194  

208  

215  

156  

218  

263  

290  

273  

특목고_국제 

34  

42  

40  

50  

44  

27  

55  

52  

64  

68  

특목고_마이스터 

195  

204  

204  

211  

196  

156  

203  

254  

253  

237  

특성화고 

6,112  

6,274  

6,750  

7,554  

7,508  

3,951  

5,894  

6,929  

6,982  

7,047  

자율고_공립 

824  

872  

854  

904  

826  

359  

264  

220  

429  

827  

자율고_사립 

320  

359  

393  

400  

374  

238  

362  

312  

390  

342  

전체 

21,427  

22,712  

23,506  

24,101  

23,224  

14,140  

19,740  

23,609  

25,588  

26,753  

 

 

학생수 

(단위 : 명) 

 

고등학교 유형 

15학년도 

16학년도 

17학년도 

18학년도 

19학년도 

20학년도 

21학년도 

22학년도 

23학년도 

24학년도 

일반고 

1,278,008  

 1,256,108  

 1,193,562  

 1,096,331  

 1,001,756  

 958,108  

 961,275  

 961,714  

 993,933  

 1,010,078  

특목고_체육 

 3,739  

3,905  

3,952  

3,846  

3,927  

3,794  

3,757  

3,563  

3,595  

3,671  

특목고_과학_영재학교 외 

 3,900  

4,425  

4,348  

4,346  

4,396  

4,424  

4,389  

4,378  

4,401  

4,382  

특목고_과학_영재학교 

 1,968  

2,280  

2,450  

2,513  

2,515  

2,509  

2,477  

2,498  

2,505  

2,512  

특목고_예술 

 17,265  

 17,143  

 16,930  

 16,720  

 16,443  

 15,620  

 14,757  

 14,267  

 14,039  

 14,110  

특목고_외국어 

 19,964  

 19,057  

 18,595  

 17,973  

 17,036  

 16,767  

 16,579  

 15,935  

 15,734  

 15,112  

특목고_국제 

 3,191  

3,179  

3,193  

3,190  

3,173  

3,149  

3,262  

3,301  

3,408  

3,411  

특목고_마이스터 

 17,502  

 17,618  

 18,492  

 18,105  

 17,754  

 18,230  

 17,960  

 17,482  

 16,798  

 16,337  

특성화고 

302,021  

 290,632  

 274,281  

 252,260  

 230,098  

 212,294  

 198,663  

 182,801  

 175,327  

 171,378  

자율고_공립 

 93,100  

 91,801  

 87,592  

 81,012  

 75,093  

 67,604  

 43,402  

 25,338  

 18,472  

 32,355  

자율고_사립 

 47,608  

 46,309  

 46,304  

 42,280  

 38,836  

 34,813  

 33,444  

 31,071  

 30,057  

 30,979  

전체 

 1,788,266  

 1,752,457  

 1,669,699  

 1,538,576  

 1,411,027  

 1,337,312  

 1,299,965  

 1,262,348  

 1,278,269  

 1,304,325  

 

 

 

학업중단자수 

(단위 : 명) 

 

고등학교 유형 

15학년도 

16학년도 

17학년도 

18학년도 

19학년도 

20학년도 

21학년도 

22학년도 

23학년도 

24학년도 

일반고 

 13,946  

14,924  

15,069  

14,677  

13,791  

 9,112  

12,529  

15,310  

16,869  

17,674  

특목고_체육 

68  

 52  

 65  

 47  

 50  

 36  

 46  

 45  

 50  

 57  

특목고_과학_영재학교 외 

 9  

 18  

 16  

 28  

 31  

 27  

 37  

 34  

 33  

 39  

특목고_과학_영재학교 

 2  

 

 

 13  

 10  

 

 13  

 12  

 14  

 12  

특목고_예술 

282  

 245  

 333  

 355  

 399  

 188  

 253  

 312  

 339  

 317  

특목고_외국어 

165  

 171  

 194  

 208  

 217  

 156  

 219  

 264  

 290  

 274  

특목고_국제 

34  

 42  

 40  

 50  

 44  

 27  

 55  

 53  

 64  

 68  

특목고_마이스터 

205  

 221  

 210  

 214  

 210  

 161  

 206  

 260  

 255  

 243  

특성화고 

6,652  

 6,807  

 7,301  

 8,052  

 7,927  

 4,121  

 6,143  

 7,157  

 7,174  

 7,202  

자율고_공립 

871  

 897  

 876  

 931  

 841  

 366  

 267  

 220  

 437  

 835  

자율고_사립 

320  

 360  

 394  

 403  

 374  

 239  

 363  

 314  

 390  

 344  

전체 

22,554  

 23,741  

 24,506  

 24,978  

 23,894  

 14,439  

 20,131  

 23,981  

 25,915  

 27,065  

 

 

자퇴자수, 학생수, 학업중단자수 : 한국교육개발원 제공 

학년도 : 그 해 3월 ~ 다음 해 2월                         

학업중단 : 자퇴(질병, 가사, 부적응, 해외출국, 기타), 퇴학(품행), 제적, 유예, 면제, 장기결석에 따른 정원외 학적 관리